Mar 17th Journal Club

Themes: Virtual Reality, Emotion

Presenters: SB (Seoyeon Bae), YK (Yoon Kyung Lee), YP (Yong-Ha Park)


Topic 1: Virtual Reality and Emotion: A 5-Year Systematic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2015-2019) [SB]

선정 이유

가상 현실 연구로 유명한 스탠포드 대학교의 Jeremy Bailenson 교수가 출판한 논문들을 찾아보다, 가상 현실-정서와 관련된 지난 5년 간의 연구 동향이 어떤지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review paper가 있어 가져오게 되었다.

내용 요약

본 리뷰 논문은 먼저 간단하게 Immersive VR이 무엇인지, 학계에서 지금껏 정서를 보는 관점으로는 무엇이 있었는지를 설명하고, 가상 현실-정서와 관련된 총 72개의 연구를 크게 세 종류로 구분지었다. 첫번째 분야로는 ‘Emotion regulation’으로, 이는 mood induction과 clinical applications으로 한 차례 더 세부적으로 나누었다. 두번째 분야는 ‘Emotions as a Mechanism for Psychological Phenomena’로, empathy and perspective taking과 emotional intensity로 더 상세하게 분류 및 설명되었다. 마지막으로는 Emotional Theory와 관련된 가상 현실 연구 분류였다. 이와 더불어, VR을 연구에 활용하는 것의 개념적/방법론적 어려움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앞으로 VR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지를 제시하였다.

의의

본 논문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가상 현실이 정서 관련 분야에서 어떤 방식으로 연구에 활용되었는지, 그 흐름을 정리한 리뷰 논문이라는 점 자체에서 큰 의의가 있다. 특히나 본문에서 언급된 여러 레퍼런스는 추후 논문을 쓰거나 연구를 진행하는 데 있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 문헌

Markowitz, D. M. & Bailenson, J. N. (in press). Virtual reality and emotion: A 5-year systematic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2015-2019). In R. Nabi & J. Myrick (Eds.), Our online emotional selves: The link between digital media and emotional experience. Oxford University Press.

Topic 2: Induction and Profiling of Strong Multi-Componential Emotions in Virtual Reality [YP]

선정 이유

The most important reason that made me decide this paper was that the paper covers mutiple studies that have used the virtual reality technology for psychological analysis. I thought this as a significant combination between traditional psychology and modern technology.

내용 요약

The paper is a review of multiple studies that have done in the field of psychology. It tries to explain why the technology is especially focused by the field of psychology. The paper cover the clinical psychology’s exposure therapy (from phobia to social anxiety) to more recent studies using VR for perception and emotion. The technology allow psychologists to make a realistic environment but controlled.

의의

Not only as a review study of clinical psychology using virtual reality. It also suggests a model that might open a new possibility of psychological research that can be done through virtual reality. Its separation of technological side of VR and content side of VR shows that there can be different pathways for people to percept the presence through VR experience.

참고 문헌

Diemer, J., Alpers, G. W., Peperkorn, H. M., Shiban, Y., & Mühlberger, A. (2015). The impact of perception and presence on emotional reactions: a review of research in virtual reality. Frontiers in psychology, 6, 26.